기술 거부, ISRO는 자체적으로 저온 엔진을 구축했습니다.
정지 통신 위성인 GSAT-19의 오늘 발사는 아마도 지난 30년 동안 ISRO의 가장 중요한 임무일 것입니다.

정지 통신 위성인 GSAT-19의 오늘 발사는 아마도 지난 30년 동안 ISRO의 가장 중요한 임무일 것입니다. 아마도 엄청나게 인기 있는 Chandrayaan 또는 Mangayaan 우주 임무보다 기술적 중요성이 더 클 것입니다. 우주에 배치되는 위성 때문이 아니라 그 자체로 덜 특별하지는 않습니다.
발사는 사용 중인 로켓 때문에 ISRO에게 큰 도약입니다. 더 정확하게는 이 로켓에 동력을 공급하는 엔진 때문입니다. 사실, 이번 출시를 더욱 특별하게 만든 것은 바로 이 엔진의 세 번째이자 최상위 단계입니다. 임무는 ISRO가 1990년대부터 마스터하려고 시도한 완전히 고유한 극저온 상부 스테이지를 갖춘 GSLV-MkIII라고 하는 차세대 지구동기식 위성 발사체의 첫 번째 개발 비행입니다.
매우 낮은 온도에서 연료를 취급하는 이 극저온 단계는 더 무거운 위성을 우주 깊숙이 운반하기 위해 로켓에 필요한 추가 추력을 제공하는 데 중요합니다. GSLV-MkIII는 최대 4~5톤의 탑재량을 실을 수 있으며 이는 ISRO의 주요 발사체인 PSLV에 사용되는 기존 추진체로는 불가능합니다. -지구 표면으로부터의 고도.
그것은 ISRO가 우주를 더 깊이 탐사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추가 수익을 가져와 더 무거운 위성의 상업적 발사를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ISRO를 위한 가장 큰 행사임이 분명합니다. ISRO의 발사체 프로그램에 있어 오늘이 가장 중요한 날일 것입니다. 외국의 지원이 전혀 없었던 성공입니다. ISRO의 전 회장인 G Madhavan Nair는 GSLV-MkIII는 완전히 집에서 재배한 제품이므로 매우 만족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웹사이트 .
발사의 성공 뒤에는 극저온 기술을 길들이기 위한 거의 30년의 노력과 이 기술의 흥미로운 역사가 1990년대 초 미국에 의해 ISRO에 거부되어 독자적으로 개발해야 했습니다. 모든 로켓 연료 중에서 수소가 최대 추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천연 가스 형태의 수소는 다루기 어렵기 때문에 PSLV와 같은 로켓의 일반 엔진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수소는 액체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수소가 영하의 거의 섭씨 250도인 매우 낮은 온도에서 액화된다는 것입니다. 이 연료를 태우려면 산소도 액체 형태여야 하며 이는 영하 섭씨 90도 정도에서 발생합니다. 로켓에 이러한 저온 분위기를 만드는 것은 로켓에 사용되는 다른 재료에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어려운 제안입니다. ISRO는 1980년대 중반에 극저온 엔진을 개발할 계획을 세웠는데, 당시 미국, 구소련, 프랑스, 일본 등 소수의 국가만이 이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GSLV 프로그램은 이미 구상된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ISRO는 이러한 엔진 중 일부를 수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일본, 미국, 프랑스와 논의를 거쳐 마침내 러시아 엔진에 합의했습니다. 1991년에 ISRO와 러시아 우주국인 Glavkosmos는 기술 이전과 함께 이 엔진 중 2개를 공급하기로 계약을 맺었습니다.
그러나 엔진 계약을 놓친 미국은 인도도 러시아도 가입하지 않은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 조항을 인용해 러시아 판매를 반대했다. MTCR은 미사일 기술의 확산을 통제하려고 합니다. 소련의 붕괴에서 여전히 부상하고 있던 러시아는 미국의 압력에 굴복하여 1993년에 거래를 취소했습니다. 대안으로 러시아는 원래 2개의 극저온 엔진 대신 7개의 극저온 엔진을 판매할 수 있었지만 이 기술을 인도에 이전할 수 없었습니다.
러시아에서 공급된 이 엔진은 1세대 및 2세대 GSLV(Mk-I 및 Mk-II)의 초기 비행에 사용되었습니다. 이들 중 마지막은 2007년 9월 INSAT-4CR 발사에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원래 러시아 거래가 취소된 이후 ISRO는 Thiruvananthapuram에 있는 액체 추진 시스템 센터에서 자체적으로 극저온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엔진을 만드는 데 10년 이상이 걸렸고 성공은 쉽게 오지 않았습니다.
2010년에는 러시아 엔진을 장착하고 다른 하나는 자체 개발한 2세대 GSLV 로켓의 두 번의 발사가 실패로 끝났습니다. 큰 성공은 2014년 12월 오늘날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토착 극저온을 포함하는 3세대(Mk-III) GSLV의 실험 비행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 임무는 또한 실험적인 재진입 페이로드를 수행했는데, 이 페이로드는 126km 높이에 도달한 후 방출되어 벵골만에 안전하게 착륙했습니다. 그 후, 2세대 GSLV(Mk-II)의 성공적인 발사가 3번 있었고, 가장 최근의 것은 5월에 남아시아 위성을 발사한 GSLV-F09입니다.
친구들과 공유하십시오: